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9

일용직 11일차, 인테리어 현장에서 배운 '기술'의 무게 노가다 11일차, 인테리어 현장에서 배운 '기술'의 무게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금 특별한 경험을 나누려 합니다. 바로 '잡부'로서 인테리어 현장을 누빈 3일간의 이야기인데요, 혹시 저처럼 현장 일이 막연히 궁금했던 분들이 계시다면 흥미롭게 읽어주실 거라 믿습니다. 사실 현장에 발을 들이기 전에는 주변 분들의 무용담(?)이나 지인의 이야기들을 통해 나름대로 마음의 준비를 했었죠. '노가다'라는 단어가 주는 어감처럼, 힘든 노동과 거친 분위기를 예상했던 것도 사실이고요. 그런데 이게 웬걸요? 예상과 달리 현장은 제가 생각했던 것과는 꽤 달랐습니다. '이게 맞나?' 싶을 정도로 비교적 편안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알고 보니 제가 참여한 현장은 꽤 잘나간다는 인테리어 회사인데도, 공사 규모가 .. 2025. 9. 3.
만 59세의 건설 일용직 현장, 그 삶의 면면들 속에서 배운 인생의 가치 🏗️ 건설 현장, 그 삶의 면면들 속에서 배운 인생의 가치안녕하십니까. 지난 이야기에 이어, 다시 흙먼지 날리는 아파트 신축 현장에서 일용직 노동자로서 보낸 시간과 그 속에서 마주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단순히 몸을 쓰는 일을 넘어, 각자의 사연을 품고 살아가는 이들과의 대화는 저에게 깊은 성찰의 기회를 주었습니다.하루 이틀, 어느덧 7일, 발길이 이끄는 대로 찾게 된 신축 현장에서는 양수 업무, 청소 업무, 하역 업무, 그리고 화장실 청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육체적으로 고되고 때로는 고단한 일들이었지만, 그 속에서 만난 수많은 노동자들(소위 잡부라 불리는 분들)과의 솔직한 교류는 그 어떤 가르침보다 값진 것이었습니다. 👥 건설현장에서 만난 사람들: 그들의 이야기현.. 2025. 9. 2.
만 59세, 나는 왜 일명 '노가다' 현장에 뛰어들었을까? 만 59세, 나는 왜 일명 '노가다' 현장에 뛰어들었을까? 🚧 오늘 나누고 싶은 이야기는 저, hanvorya.com을 운영하는 이 사람의 조금 특별한 도전기예요. 겉으로는 보잘것없어 보일지 모르지만, 수 없이 많은 서울대 제자들을 길러낸 삼십 년 넘게 대학입시를 위한 강사였던 제가 어쩌다 ‘노가다’, ‘잡부’라고 불리는 현장에서 일하게 됐는지, 그 솔직한 경험담을 풀어볼까 해요.내 인생, 이대로 괜찮은 걸까? 🤔어느 날 문득, 사교육을을 떠나야 하지 않나? 라는 생각 속에 "과연 나는 어떤 존재일까? 남들이 보는 나의 모습은 허상일까, 진실일까?" 이런 질문이 머릿속을 맴돌았어요. 화려하게 꾸며진 허상 속에 갇혀 살았던 건 아닌가 하는 생각에, 제 삶을 밑바닥부터 다시 들여다보고 싶었죠. 그래서 '.. 2025. 9. 1.
동탄2신도시 노가다 현장 주변에서 맛본 짬뽕 맛집, '고뿔짬뽕' - 그 진하고 깊은 맛, 맛있더라구요! 🌶️ 동탄2신도시 노가다 현장 부근에서 경험한 짬뽕 맛집, '고쁠짬뽕' 🍜안녕하세요, 며칠 전, 동탄2신도시에 소문이 자자한 짬뽕 맛집, 바로 '고쁠짬뽕'에 발걸음을 했습니다. 사실 짬뽕이라면 저도 웬만큼 먹어봤다고 자부하는데, 이곳 '고쁠짬뽕'의 시그니처 메뉴인 ‘고쁠짬뽕’을 맛본 순간, 잊고 있던 미식의 감동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답니다. 이전에 찾던 짬뽕에서 느끼던 아쉬움과 고민을 한 방에 날려버릴 만큼, 혀끝을 사로잡는 그 맛에 감탄사를 연발했지 뭐예요! 오늘 저의 솔직한 방문 후기를 통해 짬뽕 맛집을 소개합니다.🔥 혀끝을 감싸는 진한 국물과 풍성한 해물의 조화가게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풍겨오는 고소하고 매콤한 짬뽕 냄새가 저의 식욕을 한껏 돋우었습니다. 자리에 앉아 주문한 '고쁠짬뽕'이 나.. 2025. 8. 30.
에너지 설비 자격증 : 어디로 가야 돈이 될까? '전통 에너지' vs '미래 에너지' 우리 삶은 정말 '에너지' 없이는 단 한 순간도 버틸 수 없죠. 스마트폰 충전부터 냉장고, TV, 자동차, 심지어 제가 지금 쓰고 있는 이 컴퓨터까지! 이 모든 건 전기와 에너지가 있어야만 가능합니다. 많은 분들이 '에너지 설비'와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비슷하게 생각하시기도 하는데, 알고 보면 뿌리도 다르고, 미래 전망도 조금은 다릅니다. 이 분야에 관심 있는 령주님들이 많으실 텐데요, 오늘은 제가 그 복잡한 에너지 세계를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드리고자 합니다. 과연 이 두 분야는 어떻게 다르고, 각각 어떤 직종에서 어떤 급여를 받으며 일하는지, 꼼꼼하게 알아봅니다! 1. 우리 삶의 기반, '에너지 설비' 전문가의 세계 (기존/전통 에너지)우리 문명 생활을 오랫동안 가능하게 했던 화석.. 2025. 8. 30.
2025년,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복지정책 '변화' 핵심 정리! 2025년,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복지정책 '변화' 핵심 정리!2025년에 달라지는 복지정책 중에 우리 같은 보통 사람들에게 직접적으로 와 닿는 것들만 골라서 핵심만 정리해봤습니다. 복잡한 내용은 다 빼고, '그래서 나한테 좋은 게 뭐야?' 하는 마음으로 읽어보시길 바랍니다.1. 일단, 복지 혜택 대상이 '확대'됩니다! → 중위소득 상향이 핵심정책 얘기 나오면 맨날 등장하는 '기준 중위소득'이라는 게 있습니다. 이게 뭐냐면, 내가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없는지 따지는 기준선 같은 거예요.👉 2025년에는 이 기준선이 더 높아집니다.2024년 기준: 4인 가구 5,729,913원2025년 기준: 4인 가구 6,097,773원 (약 6.42% 인상!)이게 왜 중요하냐고요?→ 더 많은 가구와 개인이 복.. 2025. 8. 30.